안티오코스 13세 아시아티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티오코스 13세 아시아티코스는 기원전 92년에서 85년 사이에 사망한 안티오코스 10세 에우세베스의 아들로, 그의 어머니 시리아의 클레오파트라 셀레네가 섭정으로 통치했다. 그는 티그라네스 대왕의 시리아 정복 이후 로마의 지원을 받아 "시리아의 왕"으로 인정받았으나, 로마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었다. 기원전 64년 폼페이우스에 의해 폐위되었고, 에메사의 지배자 삼프시게라모스 1세에게 살해당하면서 셀레우코스 왕조는 멸망하는 듯했으나, 다른 왕족들의 생존이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64년 사망 - 조광한 (전한)
조광한은 전한 시대의 청렴하고 유능한 관리로, 수재로 천거되어 경조윤을 거쳐 관내후에 봉해졌으며, 호족 세력을 제압하고 개혁을 추진했으나 권력층과의 갈등으로 처형당했다. - 기원전 1세기 그리스 사람 - 디오도로스 시켈로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아우구스투스 시대에 활동한 고대 그리스 역사가로, 3부 40권의 역사서 《역사총서》를 저술했으며, 이 책은 선대 역사가들의 저서를 종합하여 사료적 가치가 높다. - 기원전 1세기 그리스 사람 - 니카이아의 파르테니오스
니카이아의 파르테니오스는 기원전 1세기경 활동한 그리스 시인이자 문법학자로, 코르넬리우스 갈루스에게 헌정된 36가지 사랑 이야기 모음집 《사랑의 비애》를 통해 알렉산드리아 시인과 문법학자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 셀레우코스 국왕 -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
셀레우코스 1세 니카토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장군이자 셀레우코스 제국의 창건자로, 디아도코이 전쟁에서 승리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도시 건설에 힘썼으며, 코루페디온 전투에서 승리한 후 암살당했다. - 셀레우코스 국왕 -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
안티오코스 2세 테오스는 셀레우코스 제국의 왕으로, 제2차 시리아 전쟁을 통해 세력을 확장하고 '테오스' 칭호를 얻었으나, 결혼과 왕위 계승 분쟁으로 제3차 시리아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안티오코스 13세 아시아티코스 | |
---|---|
기본 정보 | |
![]() | |
왕명 | 안티오코스 필라델포스 |
통치 | |
국가 | 시리아셀레우코스 제국 |
통치 기간 | 기원전 82년–기원전 64년 |
이전 통치자 | 필리포스 1세 필라델포스 |
다음 통치자 | 필리포스 2세 필로로마이오스 |
섭정 | 클레오파트라 셀레네 (기원전 82년–기원전 69년) |
섭정 유형 | 공동 통치자 및 섭정 |
개인 정보 | |
출생일 | 알 수 없음 |
사망일 | 기원전 64년 |
가문 | |
왕조 | 셀레우코스 왕조 |
아버지 | 안티오코스 10세 에우세베스 |
어머니 | 클레오파트라 셀레네 |
서명 |
2. 생애
안티오코스 13세는 안티오코스 10세 에우세베스의 아들로,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다. 그의 어머니 시리아의 클레오파트라 셀레네가 섭정을 맡았으나, 티그라네스 대왕이 시리아를 정복하면서 셀레네는 아들의 왕위 계승을 위해 로마로 갔다. 그러나 셀레네는 티그라네스에게 사로잡혀 살해되었다. 이후 루쿨루스가 티그라노케르타 전투에서 티그라네스를 격파하면서 안티오코스 13세는 안티오크 주민들에 의해 왕으로 추대되었고, 루쿨루스는 그를 시리아의 종속 통치자로 임명했다. 그러나 곧 폼페이우스에 의해 폐위되고 삼프시케라모스 1세에게 살해당했다. 그의 죽음으로 셀레우코스 왕조는 막을 내린 것으로 여겨지지만, 필리포스 2세 필로로마이오스 등 다른 왕족들이 잠시 더 생존했다는 기록도 있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안티오코스 13세는 아버지인 안티오코스 10세 에우세베스가 기원전 92년에서 85년 사이에 사망한 후 왕위에 올랐다. 그는 미성년자였기 때문에 그의 어머니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출신 공주 시리아의 클레오파트라 셀레네가 섭정으로 활동했다.[2] 기원전 92년부터 기원전 83년경까지는 아버지 에우세베스가 파르티아와의 전투에서 사망하고, 아들 아시아티코스가 뒤를 잇자 어머니 셀레네가 실권을 쥐었다.[6]
티그라네스 대왕이 시리아를 정복한 기원전 83년, 셀레네는 아들들이 이집트의 왕으로 인정받도록 하기 위해 로마로 갔지만 실패했다. 그러나 기원전 75년에서 73년 사이에 그들은 "시리아의 왕"으로 인정받았고 "왕실의 지위를 유지"했다.[3] 같은 해, 셀레네와 그녀의 아들들은 로마로 가서 아들을 이집트 왕으로 인정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실패했다. 그러나 "왕국을 지배하는 자", "시리아의 왕"으로는 인정받아 기원전 73년에 시리아로 돌아왔다.[7]
셀레네는 결국 티그라네스에게 붙잡혀 살해되었다. 그러나 기원전 69년에 로마의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루쿨루스가 티그라노케르타 전투에서 티그라네스를 격파한 후, 안티오크 주민들은 안티오코스 13세를 왕으로 환호했고, 루쿨루스는 그를 시리아의 종속 통치자로 임명하는 것을 승인했다.[4]
2. 2. 로마와의 관계
안티오코스 13세는 아버지 안티오코스 10세 에우세베스가 기원전 92년에서 85년 사이에 사망한 후 왕위에 올랐다. 미성년자였던 안티오코스 13세를 대신해 그의 어머니인 시리아의 클레오파트라 셀레네가 섭정으로 활동했다.[2] 티그라네스 대왕이 시리아를 정복한 기원전 83년, 클레오파트라 셀레네는 아들들이 이집트의 왕으로 인정받도록 하기 위해 로마로 갔지만 실패했다. 그러나 기원전 75년에서 73년 사이에 로마 원로원은 그들을 "시리아의 왕"으로 인정했고, 그들은 "왕실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었다.[3]
2. 3. 티그라네스 대왕과의 갈등
클레오파트라 셀레네가 섭정으로 활동하던 중, 기원전 83년 아르메니아 왕 티그라네스 대왕이 시리아를 정복했다.[2] 이후 셀레네는 아들들의 왕위 인정을 위해 로마로 갔지만 실패했다. 그러나 기원전 75년에서 73년 사이에 그들은 "시리아의 왕"으로 인정받았다.[3] 셀레네는 결국 티그라네스에게 붙잡혀 살해되었다.[4]기원전 69년, 루쿨루스가 티그라노케르타 전투에서 티그라네스를 격파하자, 안티오크 주민들은 안티오코스 13세를 왕으로 추대했고, 루쿨루스는 그를 시리아의 종속 통치자로 임명했다.[4]
2. 4. 폐위와 죽음
기원전 64년, 폼페이우스는 안티오코스 13세를 폐위시키고 시리아 족장 삼프시케라모스 1세에게 그를 살해하도록 했다.[5] 안티오코스 13세는 지배권을 두고 다툼을 벌였고, 약한 정권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얼마 지나지 않아 기원전 64년, 안티오코스 13세는 로마의 그나이우스 폼페이우스에 의해 폐위되었고, 에메사의 지배자였던 샴시게라모스 1세에게 살해당했다.[6]안티오코스 13세의 죽음으로 셀레우코스 왕조가 끝났다고 전해지지만, 필리포스 2세 필로로마이오스가 잠시 생존했고,[8] 만약 후자가 이집트의 베레니케 4세와 잠시 결혼했던 왕자와 동일 인물이라면 셀레우코스 7세 필로메토르는 기원전 58년까지 생존했다. 어쨌든 안티오코스 13세와 필리포스 2세의 폐위 이후, 시리아는 로마의 시리아 속주가 되었고, 총독이 파견되게 되었다.
3. 셀레우코스 왕조의 종말?
안티오코스 10세 에우세베스가 기원전 92년에서 85년 사이에 사망한 후, 안티오코스 13세는 왕위에 올랐지만 미성년자였기 때문에 그의 어머니인 시리아의 클레오파트라 셀레네가 섭정을 맡았다.[2] 기원전 83년, 티그라네스 대왕이 시리아를 정복한 후 셀레네는 아들들을 이집트 왕으로 인정받기 위해 로마로 갔지만 실패했다. 그러나 기원전 75년에서 73년 사이에 그들은 "시리아의 왕"으로 인정받았다.[3] 이후 셀레네는 티그라네스에게 붙잡혀 살해되었지만, 루쿨루스가 티그라노케르타 전투에서 티그라네스를 격파한 후, 안티오크 주민들은 안티오코스 13세를 왕으로 환호했고, 루쿨루스는 그를 시리아의 종속 통치자로 임명했다(기원전 69년).[4]
기원전 64년, 폼페이우스는 안티오코스 13세를 폐위시키고 삼프시케라모스 1세에게 살해하도록 했다.[5] 안티오코스 13세의 죽음으로 셀레우코스 왕조가 끝났다고 알려져 있지만, 필리포스 2세 필로로마이오스가 잠시 생존했다. 또한 셀레우코스 7세 필로메토르는 이집트의 베레니케 4세와 잠시 결혼했고 기원전 58년까지 생존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당시 셀레우코스 왕조가 이집트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와의 관계를 통해 왕조를 이어가려 했음을 보여준다.
참조
[1]
서적
Handbook of Syrian Coins: Royal and Civic Issues, Fourth to First Centuries BC
Classical Numismatic Group
2009
[2]
웹사이트
Cleopatra Selene queen of Syria, in Egyptian Royal Genealogy
http://www.tyndaleho[...]
2002-2008
[3]
서적
The House of Seleucus
London
1902
[4]
문서
Historiarum Philippicarum T. Pompeii Trogi
[5]
문서
Bibliotheca Historica
[6]
간행물
M. Iuniani Iustini epitoma Historiarum Philippicarum Pompei Trogi
https://doi.org/10.1[...]
B. G. Teubner
1985-12-31
[7]
간행물
The House of Seleucus
https://doi.org/10.1[...]
1903-10
[8]
간행물
Revised Chronology for the Late Seleucids at Antioch (121/0-64 B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